From Dots to Lines: A Personal Tale of APTE: 도망치듯 떠난 곳에서 찾은 머물고 싶은 길
From Dots to Lines: A Personal Tale of APTE
Sometimes, we find our path in the middle of wandering—or
even while running away. People often talk about students who don’t fit in, but
there are also teachers who feel out of place in schools. I was one of those
teachers. From the moment I was assigned, the school felt stifling and
suffocating. Looking back, I lacked the basic virtues expected of a teacher or
a public servant—organization, precision, attention to detail. So I chose to
run. As soon as I fulfilled the minimum service period, I applied for graduate
school leave. Then one day, I came across a notice for the Teacher Dispatch
Programme to multicultural countries in 2014. Without hesitation, I applied.
That four-month journey to the Philippines, which started as an escape,
eventually helped me find a meaningful path as a teacher.
Life in the Philippines was tough, but every day felt like
an exciting adventure. There was no TV or IT equipment in the classroom back
then. I brought a projector from Korea, bought a piece of white cloth at the
market, and turned it into a screen. I used my phone’s hotspot to access the
internet for class. The students were amazed, and I was thrilled. Drawing
geometric shapes and the solar system on Manila paper was also a joy. When I
returned to Korea, I realized that as long as I did what I loved, I could feel
free—wherever I was.
A lot has happened since then. Through cultural exchanges
with students from different countries, I found joy in teaching again. I taught
short-term classes in Uzbekistan and several Southeast Asian countries during
school breaks, joined a software development competition in Hawaii as a mentor
teacher, and even led students on a study trip to New Zealand. I also worked at
the Korean School in Cambodia for two years to gain experience teaching abroad.
When I returned to Korea in 2022, it was the middle of the
COVID-19 pandemic. The dispatch programme had shifted to virtual exchanges, and
I joined a remote project with a school in Bulag, Philippines. I still remember
the incredible passion of the Filipino teachers. They wore traditional
costumes, danced, and demonstrated how to make traditional dishes on camera.
Miraculously, one of those teachers came to Korea the following year. We walked
together through Jeonju Hanok Village and shared a meal of samgyeopsal. The
world may be vast, but when you leave enough dots, they’ll eventually connect.
In 2023, my school was selected to host Malaysian exchange
teachers. That’s how we met Edie and Rara—our Malaysian friends. For three
months, they poured their hearts into teaching. We also created many fond
memories together. Our biggest challenge? Food. I’d never lived with Muslims
before and knew nothing about halal food. But our search for halal restaurants
turned into a fun little quest—like looking for the One Ring! We finally found
one in Gwangju’s Koryoin Village, and I’ll never forget the joy we felt. Edie
and Rara, who always called me “Boss”—my dear crocodile friends from Malaysia—I
know we’ll meet again someday.
In 2024, I honestly didn’t have the energy to take on
another exchange programme. It’s meaningful, but it also demands a lot. But as
2025 began, I found myself wanting to do something exciting again. I applied to
host teachers from any country—and got connected with Cambodian teachers.
Although I had lived in Cambodia for two years, I never had the chance to build
deep conversations with locals. This time was different. Khema and Soaphea were
among the most forward-thinking and self-driven people I’ve met. Though they’ve
now returned home, I still haven’t cleared out the classroom they used. I
sincerely hope they find their own “Healing Field.”
I don’t participate in these programmes out of some grand
mission or ideal. I just find encountering different cultures exciting—it makes
my heart race. But I do believe this: when a teacher’s life is full and rich,
their students benefit too. So if any teacher is looking for something that
makes their heart beat faster—something that lets you leave small dots in the
world and eventually connect them—I recommend international education exchange.
Connecting the dots. Andante, 安團態.
도망치듯 떠난 곳에서 찾은 머물고 싶은 길
때론 헤매는 길에서, 또는 도망치는 길에서 자신의 길을 찾기도 하는가 보다. 세상은 부적응 학생들에 대해서만 말하지만, 학교에는 부적응 교사도 있다. 나는 그 부적응 교사 중 한 명이었다. 발령받았을 때부터 학교는 내게 답답하고 숨이 막히는 공간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나에게는 교사로서 또는 공무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덕목들 가령, 조직화, 정교함, 섬세함 등이 부족했던 것 같다. 그래서 도망가는 길을 선택했다. 항상 파견 공문을 찾아봤고 최소 근무 기간이 채워지자마자 대학원 파견을 떠났다. 그러나 복귀 후 학교를 벗어나려는 욕구는 더 강해졌다. 그러던 중 2014년 다문화가정대상국가 파견 공문을 보았고 망설임 없이 지원했다. 그렇게 도망치듯 떠난 필리핀에서 보낸 4개월이 내게 교사로서 의미 있게 살아갈 길을 연결해주었다.
필리핀에서의 생활은 고됐지만, 하루하루가 재미있는 모험이었다. 2014년 필리핀 학급에는 TV는 물론 아무런 IT 장비도 없었다. 나는 한국에서 공수해간 프로젝터를 설치하고 시장에서 흰 천을 사서 칠판에 걸어 스크린을 만들었다. 그리고 휴대폰의 핫스팟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해 수업했다. 아이들도 신기해했고 그런 아이들의 모습에 나도 행복했다. 마닐라지라고 불렀던 황갈색 종이에 수학 도형이나 태양계를 그리는 작업도 신났다. 그리고 한국에 돌아왔을 때 내가 어디에 있든지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으면 자유로울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필리핀에서 돌아온 후부터 많은 일이 있었다. 아이들과 여러 나라 학생들과 국제교류를 하면서 나도 가르치는 것에 재미를 느꼈다. 방학 동안에 우즈베키스탄과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파견 수업을 했고, 하와이에서 열린 소프트웨어 개발 경연대회에 지도교사로 참가했다. 교육청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뉴질랜드에 아이들을 데리고 가기도 했다. 그리고 재외한국학교의 경험을 갖고 싶어 캄보디아 한국학교에서 2년을 근무하고 복귀했다.
2022 복귀했을 때 코로나 시기였고 내가 경험했던 다문화대상국가 파견은 비대면 교류로 전환되어 있었다. 나는 익숙한 필리핀에 지원했고 필리핀의 Bulag 학교와 비대면 교류했다. 아직도 그분들을 열정을 잊지 못한다. 그분들은 필리핀 문화를 보여주기 위해 직접 민속 의상을 입고 춤을추고, 전통음식 만드는 모습을 시연했다. 신기하게도 교류했던 선생님 중 한 분이 2023년 사업이 대면 교류로 전환됐을 때 한국에 오셨다. 우리는 전주의 한옥마을을 같이 걸었고 삼겹살을 먹었다. 세상은 넓지만, 점들을 찍어두면 언젠가 선이 되어 연결되었다.
2023년 신창초등학교는 다문화대상국가 파견교사 배치학교에 지원했고 우리는 두 명의 말레이시아 친구들을 만났다. 애칭으로 불렀던 Edie와 Rara는 3개월 동안 너무 열정적으로 학생들 교육에 최선을 다했다. 개인적으로도 우리는 많은 추억을 만들었다. 우리가 가졌던 유일한 문제는 음식이었다. 무슬림과 지내본 적이 없던 나는 할랄푸드에 대해 무지했지만, 할랄푸드를 찾아 떠났던 여정은 절대 반지를 찾는 모험처럼 재미있었다. 광주에 있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이주한 고려인 마을에서 할랄푸드를 찾았을 때 우리가 느꼈던 기쁨은 아직도 잊지 못한다. 나를 항상 Boss 불렀던 그리운 Edie, RaRa! 나의 말레이시아 Crocodile 친구들. 언젠가 우리는 다시 보게 될 거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
그리고 2024년은 도저히 이 사업을 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의미 있는 일들이지만 신경 써야 할 일들이 많았다. 하지만 2025년이 시작되자 다시 신나는 일을 하고 싶어졌다. 그리고 다시 다문화가정대상국가 파견 사업에 배치학교에 지원했다. 나라는 상관없어서 모든 나라에 체크했더니 캄보디아 선생님들과 연결됐다. 다시 한번 캄보디아가 내 삶과 연결되고 있었다. 캄보디아에 2년을 살았지만 사실 캄보디아 사람들과는 깊은 대화를 하지도 못했는데 우리는 많은 것을 공유했다. 누구보다 진취적이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려고 노력하는 Khema, Soaphea를 만났다. 3개월을 지내고 지난주에 본국으로 돌아갔지만 나는 그 두 분이 머물렀던 교실을 아직 치우지 못하고 있다. Khema, Soaphea 선생님이 서로의 “Healing Field”를 찾길 진심으로 응원한다.
나는 다문화에 대한 어떤 이상적인 사명감이나 열정으로 이 사업을 하지 않는다. 다른 나라의 문화를 접하는 것이 흥미롭고 신나는 일들로 내 가슴을 뛰게 하는 아주 개인적인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교사로서의 삶이 풍요로우면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에게도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는 것을 믿는다. 그래서 나는 거창한 이상으로서 국제교육교류를 소개하지 않는다. 그 자체로 신나는 일이며 모험과 자유로움을 주는 일이다.
세상에 점을 선으로 연결해주는 가슴 뛰는 일을 하고 싶다면 국제교류를 해 보시라고 권해보고 싶다!
Conneting the dots. andante, 安團態.
Comments
Post a Comment